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혈5

신경통 중풍등 고추나물의 다양한 효능 생약명: 소연요 과명 : 물레나물과 학명 : Hypericum erectum 종류 : 초본(풀) 이명 : 소연교, 배초, 배향초 이름에 고추가 들어가지만 고추처럼 맵지 않습니다. 전초에 들어있는 타닌 성분이 적혈구와 백혈구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해서 생리불순이나 편도선염 등에 주로 이용합니다. 술에 담가 류머티즘이나 신경통, 중풍 등에도 약용할 수도 있습니다. 중국과 유럽에서는 우울증을 치료하는 약초로 이용된다고 합니다.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잎은 식용하며 한방과 민간에서 지혈, 외상, 연주창, 구충 등에 약으로 쓰이는데 즙을 짜서 상처, 타박상에 바르기도 합니다. 꽃을 참기름에 적셔두고 베인 상처 등의 치료에 사용하고 있기도 하는데 인체의 상처 난 곳에 그 알코올용액(10~15%)을 바르면 유효합니다. 전.. 2023. 8. 2.
우울증 외에도 여러가지 이로운 샐러드 버넷 효능 추위에 강하고 약 30cm 이상 자라며 옛날 사람들에게는 퍽 귀중한 약초 중의 하나였습니다. 비비면 상쾌한 오이 향이 나는 잎에는 비타민 C와 탄닌 성분이 가득해서 샐러드나 버터, 치즈 등의 풍미를 내는 데 쓰이며, 로즈마리나 타라곤과도 궁합이 잘 맞습니다. 잎에서 침출 한 액은 세안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절로 땅에 떨어진 씨앗으로도 왕성하게 번식하기 때문에 재배하기가 매우 쉬운 허브입니다. 샐러드 버넷 허브 (산귀 소바 마이너)는 로제트로 시작하는 낮은 6-18 인치 잎이 많은 식물입니다. 그것은 4 개에서 12 개의 쌍의 전단지가 있는 기생충 잎이 있습니다. 전단지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 에는 톱니 모양입니다. 나뭇잎은 오이처럼 맛있고 샐러드에 신선한 맛을 더합니다. 허브는 허브 버터에 혼합, 퍼지.. 2023. 7. 20.
정력과 지혈에 특효인 노루발풀의 다양한 효능 6~7월에 꽃줄기가 약 10~20cm로 자라며 희거나 붉은 꽃 또는 연황백색 꽃이 밑을 향해서 핍니다. 꽃받침 조각은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달걀형으로 끝이 둥급니다. 9~10월에 동글동글한 삭과 열매가 열리는데 모서리가 5개로 갈라지면서 벌어 집니다. 노루발풀의 다른 이름은 녹제초, 녹수초, 동록, 녹함초, 사슴풀 등이 있습니다. 노루발풀은 전 세계에 약 25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7종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노루발풀 종류는 노루발풀, 분홍노루발, 콩팥노루발, 호노루발, 애기노루발, 주걱노루발, 새끼노루발이 있습니다. 에서는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거풍습, 건근골, 보폐익, 지혈의 효능이 있어 풍습성으로 인한 사지마비동통, 근육과 골격의 연약증, 신허요통 및 양다리가.. 2023. 7. 5.
월경과다 지혈에 특히 좋은 동백나무의 다양한 효능 남해의 해안이나 산지에서 자생하는 대표적인 겨울나무로 꽃과 잎, 열매를 모두 약용합니다. 지혈, 소종의 효능으로 월경과다, 산후출혈, 종독 같은 증세를 다스립니다. 꽃과 잎을 다져 외상에 붙이면 지혈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꽃은 개화기에, 잎은 언제든 채취하여 신선할 때 사용합니다. 붉은 꽃보다는 흰 꽃의 약효가 더 좋습니다. *효능 1. 노화방지 동백꽃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노화방지에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탄력이 없어지고 주름이 생기는 것을 늦춰주고 피부를 탄탄하고 노화 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2. 위와 식도 위 식도가 좋지 않을 때, 목이 아플 때 동백꽃을 우려먹으면 증상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또 동백꽃은 타박상이나 멍든 것도.. 2023. 6. 17.
여름을 대표하는 채소 비름의 다양한 효능 잡초 같지만 세계 각지에서 약초로 인정받는 소중한 풀입니다. 예부터 생리불순과 배앓이에 효능이 있다고 즐겨 먹었습니다. 단백질 함량이 백미의 2배, 칼슘은 시금치 보다 4배나 더 많습니다. 맛도 시금치와 비슷합니다. 강인한 생명력과 여름철 체력증진에 효과적인 장수 나물로 알려진 비름나물은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 년생 식물입니다. 비름나물의 다른 이름으로는 현채, 장명채, 비듬나물, 새 비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쇠비름과 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지만 쇠비름 과 이름이 유사하여 같은 식물로 혼동하기 쉽지만 전혀 다른 식물입니다. 비름나물은 예로부터 지혈 및 해열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종기, 치질, 벌레 물림 상처 치유의 약으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변.. 2023. 4.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