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리불순4

신경통 중풍등 고추나물의 다양한 효능 생약명: 소연요 과명 : 물레나물과 학명 : Hypericum erectum 종류 : 초본(풀) 이명 : 소연교, 배초, 배향초 이름에 고추가 들어가지만 고추처럼 맵지 않습니다. 전초에 들어있는 타닌 성분이 적혈구와 백혈구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해서 생리불순이나 편도선염 등에 주로 이용합니다. 술에 담가 류머티즘이나 신경통, 중풍 등에도 약용할 수도 있습니다. 중국과 유럽에서는 우울증을 치료하는 약초로 이용된다고 합니다.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잎은 식용하며 한방과 민간에서 지혈, 외상, 연주창, 구충 등에 약으로 쓰이는데 즙을 짜서 상처, 타박상에 바르기도 합니다. 꽃을 참기름에 적셔두고 베인 상처 등의 치료에 사용하고 있기도 하는데 인체의 상처 난 곳에 그 알코올용액(10~15%)을 바르면 유효합니다. 전.. 2023. 8. 2.
월경불순등 여러가지 효능이 있는 홀아비꽃대 이름과 다르게 고귀한 자태로 꽃을 피웁니다. 한방에서는 은선초 또는 은전초라고 부르며 약으로 이용합니다. 풍을 풀어주는 효능과 해독 능력이 있어서 기관지염을 비롯하여 월경불순 등 내과 질환이나 타박상, 악성종기 등의 외과 질환의 치료제로도 쓰입니다. 봄부터 여름 사이에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달여 복용합니다. 우리나라 각처의 숲 속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 입니다. 이파리는 물동이 같기도 하고 들깻잎 같기도 합니다. 한 개체가 20~30㎝ 정도까지 자라서 4, 5월에 꽃덮개가 없이 흰색의 꽃이 핍니다. 보통 여러 개체가 옹기종기 모여서 꽃을 피웁니다. 잎은 두장씩 마주 나는데 네 장의 잎이 모여 있는 사이로 꽃이삭이 촛대처럼 길게 목을 내밀고 홀로 서 있는 모습입니다. 비슷한 모양의 옥녀꽃대라는 풀.. 2023. 6. 25.
여름을 대표하는 채소 비름의 다양한 효능 잡초 같지만 세계 각지에서 약초로 인정받는 소중한 풀입니다. 예부터 생리불순과 배앓이에 효능이 있다고 즐겨 먹었습니다. 단백질 함량이 백미의 2배, 칼슘은 시금치 보다 4배나 더 많습니다. 맛도 시금치와 비슷합니다. 강인한 생명력과 여름철 체력증진에 효과적인 장수 나물로 알려진 비름나물은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 년생 식물입니다. 비름나물의 다른 이름으로는 현채, 장명채, 비듬나물, 새 비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쇠비름과 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지만 쇠비름 과 이름이 유사하여 같은 식물로 혼동하기 쉽지만 전혀 다른 식물입니다. 비름나물은 예로부터 지혈 및 해열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종기, 치질, 벌레 물림 상처 치유의 약으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변.. 2023. 4. 22.
삼백초 효능과 주의사항 ‘3가지 흰 색깔을 지닌 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삼백초(三白草)는 3가지 흰색이란 꽃이 필 때쯤 꽃 밑에 있는 2-3개의 잎이 하얗게 변하고 꽃과 뿌리 또한 흰빛을 띠는 것을 말합니다. 전삼백, 백화연, 삼전백, 천성초 등으로 부르기도 하며 전 세계적으로는 중국 인도 베트남 필리핀 대만 일본에 분포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지리산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습니다. 쌍떡잎 후추목 여러해살이풀로 습기가 많은 계곡에 바람이 잘 통하고 습도가 높은 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며 오래전 삼백초 효능이 알려지면서 민간 약재 로도 쓰였는데요 몸에 좋다는 이유로 무분별한 채취가 이뤄지면서 자생지가 많이 훼손되었으며 최근에는 멸종 위기에 처해 산림청과 환경부에서는 "멸종 위기 2급 식물"로 지정하기도 하였습니다. 키는.. 2023. 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