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에 좋은 식품

지혈작용이 뛰어난 말불버섯의 효능

by 바나나칩 2023. 1. 23.
반응형

주로 장마철부터 발생하지만 초봄과
늦가을에도 심심찮게 발견된다.
막대기로 탁 치면 포자가 연기처럼
솟구치는 재미있는 버섯이다.
육질은 흰색으로 전체가 마시멜로
같은 질감이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산야 길가 또는
도회지의 공원 같은 곳에서도 흔히
발생한다. 자실체 전체가 서양배
모양이고 상반부는 커져서 공 모양이
되며 높이 3∼7cm 지름 2∼5cm이다.
어렸을 때는 흰색이나 점차 회갈색
으로 되고 표면에는 끝이 황갈색인
사마귀 돌기로 뒤덮이며 나중에는
떨어지기 쉽고 그물 모양의 자국이
남는다.

속살은 처음에는 흰색이며 탄력성
있는 스펀지처럼 생겼고 그 내벽면에
홀씨가 생긴다. 자라면서 살이 노란색
에서 회갈색으로 변하고 수분을 잃어
헌 솜뭉치 모양이 되며 나중에는 머리
끝부분에 작은 구멍이 생겨 홀씨가
먼지와 같이 공기 중에 흩어진다.
홀씨는 공 모양이고 연한 갈색이며
작은 돌기가 있다. 어린것은 식용한다.
한국(소백산, 지리산, 한라산) 등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한다.


버섯 이름의 유래

속명 Lycoperdon는 그리스말에서
온 것으로 '늑대 배에 찬 가스 또는
늑대가 돌진할 때 나는 바람'을
뜻한다고 합니다.

종명 perlatum는 '널리 퍼진'이란
뜻이라고 합니다.

아마도 성숙한 말불버섯을 막대기로
톡 쳐 보면 열구에서 연기처럼 솟구쳐
멀리 퍼지는 포자가루를 묘사해 주는
이름인 것 같다고 합니다.


버섯에 얽힌 이야기

옛날 이 버섯은 천체 행성 가운데
목성과 관련이 있다고 믿고 지혜와
고결 성실과 연관 지어 생각하였다.

인도에서는 작은 말불버섯이 천둥과
번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믿어
영혼을 가지고 있다 하였다.

여러 토족들이 이 버섯으로 불을
일으키는 불쏘시개로 사용하거나
말려서 악령을 쫓는 종교의식 때 향을
피우는 것으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보지 못하는 눈(no-eyes)
귀신의 화장품(ghost's make-up)
이라고 불렀다.

또한 둥근 말불버섯은 줄에 꿰어
마법의 장식물로 목에 걸고 다녔고
껍질이 단단한 버섯 속에 씨앗이나
작은 자갈을 넣어 흔들어 소리 내는
악기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무당이나 마술사들이 이런
저런 목적으로 말불버섯을 사용했던
것이다.


말불버섯을 <동의보감>에는
마발(馬勃)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지혈작용과 해독작용을 하며 호흡기를
보강하고 인후를 편안하게 해 주며
인후통이나 기침 성대결절 코피
외상 출혈 토혈 등에 사용하고
피부질환과 종기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말불버섯


말불버섯 효능

항암 효과
면역력 향상 및 암세포 증식 억제가
강력합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동맥경화나 고혈압 등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소화불량 개선
위액분비 촉진작용으로 만성소화
불량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기관지 칠
가래제거 및 기침완화 작용이
있습니다.

혈관 건강에 탁월합니다.

항균 효능이 있다고 하며 면역력
증강 감기 기침 폐질환 지혈에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복용법 (먹는 방법) 및 권장량

말불버섯을 드실 분은 하루 2개
정도 (20~30g 1개 기준)를 넘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당연히 사람마다
몸에서 받는 것은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지기로는 1일
복용량을 넘기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드실 때는 알약이나 포 형태로
드시면 가장 수월하고
혹시라도 생약 성분을 구하실 수
있는 분이라면 통째로 드시거나
달여서 다른 버섯들과 함께 버섯차로
드시는 것도 아주 좋습니다.

말불버섯은 어릴 때 식용하며
볶음이나 무침요리를 하여
먹는다고 합니다.

기침감기에는 말불버섯 6g에
감초 3g을 넣어 물에 달여 하루
두 번 복용하면 된다고 합니다.

만성편도선염에는 말불버섯 3g에
산수유 9g 감초 6g을 물에 달여 하루
세 번 복용한고 합니다.

위출혈이 있을 때 말불버섯 6g을 물에
달여 꿀이나 설탕을 넣어 하루 두 번
복용한다고 합니다.

*성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고
생식을 하는 것은 금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